저자: 베이징 비즈니스 뉴스 기자 위피위 동한수안
비트코인이 다시 급락했습니다. 2월 25일 암호화폐 시장이 급락하면서 비트코인은 한때 9만 달러 아래로 떨어지며 1월 중순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 배경에는 캐나다와 멕시코의 관세 정책에 대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강경한 입장, 지정학적 긴장, 시장 모멘텀 약화 등 여러 요인이 얽혀 있습니다. 지난 24시간 동안 전 세계에서 총 37만 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총 13억 6천만 달러의 피해를 입었다는 점을 언급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는 또한 줄타기를 하는 수많은 투기꾼들이 피를 흘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01 $90,000 이하
최근 데이터에 따르면 비트코인의 하락폭이 더욱 확대되어 다음과 같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89,000달러 이하로 떨어졌습니다. 2월 25일 17시 30분 현재 비트코인 가격은 24시간 동안 7.7% 하락한 88,701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더리움, 솔라나, 도그코인 및 기타 여러 암호화폐 도 모두 10% 이상 하락했습니다.

가격 변동성과 함께 큰 시장 지각변동이 일어났습니다. 코인글래스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24시간 동안 전 세계적으로 약 37만 명, 총 13억 6천만 달러에 달하는 투자자들이 포지션을 날려버렸습니다.
뉴스에서는 최근 비트코인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트럼프의 강경한 관세 정책을 꼽고 있습니다. 2월 24일(현지 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방한 중인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회담 후 백악관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다음 달로 다가온 미국의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관세 부과 시한에 대한 질문에 트럼프는 관세가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으며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1일 캐나다산 에너지 제품에 대한 10% 인상을 포함해 멕시코와 캐나다산 수입품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으며, 3일에는 양국에 대한 관세 부과를 30일 유예하고 협상을 계속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결정에 따라 관련 관세 인상 조치는 3월 4일부터 발효될 예정입니다.
또한 앞서 암호화폐 커뮤니티 역사상 최대 규모의 도난 사건이 발생하면서 암호화폐 보안에 대한 의문이 다시 제기되었고, 투자자들의 대규모 패닉 매도세가 이어졌습니다. "현재 시장 침체는 여러 요인이 얽혀 있는 것이 분명하며, 단기적으로 지속적인 하락 압력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중국통신산업협회 블록체인 전문위원회 공동위원장이자 홍콩블록체인협회 명예회장인 위 지아닝은 베이징 비즈니스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유 지아닝은 또한 기술적으로 비트코인의 최근 움직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지적했습니다. 비트코인의 박스권 변동은 또한 시장 모멘텀의 약화를 반영합니다. 2월 초부터 비트코인 가격은 9만 달러에서 10만 달러 사이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으며, 시장은 이 박스권을 지속적으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전 기간 동안의 강한 상승으로 시장은 차익 실현 압력을 받았으며, 신뢰가 빠르게 회복되지 않으면 가격은 이 범위에서 유지되거나 심지어 하락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러나 유 지아닝이 보기에 현재의 하락세는 장기 추세 반전이라기보다는 기술적 조정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중장기적으로 비트코인 가격은 현재의 조정 이후 다시 상승 채널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속적인 ETF에 의한 자본 유입, 기관 투자자들의 전략적 할당,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 기대 등 잠재적인 거시경제 촉매제가 가격을 다시 끌어올릴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죠.
02↪CF_200D↩ 규제 태도 크게 엇갈려
또 다른 관련 뉴스 최근 암호화폐 관련 뉴스도 시장의 우려를 불러일으켰습니다. 사우스다코타 주의회 의원들이 주 정부의 비트코인 투자를 허용할 수 있었던 투표를 연기하면서 법안이 사실상 폐기되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의 대선 캠페인에서 비트코인을 국가의 '전략적 예비 자산'으로 지정하겠다고 공언했지만, 현재 미국 내에서는 이 문제에 대한 태도가 더욱 분분합니다. 여러 주에서 비트코인의 전략적 비축을 위한 법안을 제안했지만, 몬태나 주와 같은 일부 주에서는 거부권을 행사했습니다.
세계로 눈을 돌려보면 암호화폐에 대한 국가별 규제 태도도 비슷하게 나뉘어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럽중앙은행은 비트코인을 외환보유액에 포함시키는 것에 대해 강력히 반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체코 국립은행은 전통 자산과의 상관관계가 낮아 다각화를 강화할 수 있다는 점을 들어 준비금의 5%를 비트코인에 할당할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일부 사람들은 비트코인에 다음과 같은 희망을 걸고 있습니다. 첫 번째는 비트코인이 '디지털 금'이라는 점이고, 다른 일부는 비트코인의 높은 위험성에 대해 우려하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가상자산의 본질에 대한 각국의 인식과 초점, 그리고 금융 안정성, 혁신 잠재력, 자본 흐름에 대한 다양한 균형 고려가 비트코인의 차별화된 포지셔닝을 결정했습니다. 선진국은 대체로 신중한 규제 노선을 취하고 있는 반면, 아시아에서는 일본과 싱가포르가 제도적 수용으로 나아가고 있고 중국 홍콩은 가상자산 산업을 적극적으로 발전시키는 등 극명한 대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규제의 엄격함과 느슨함은 가상자산 시장의 개발 공간과 혁신 모멘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다른 차원의 위험 관리 및 통제 문제를 악화시킵니다." 위 지아닝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비트코인을 전략적 준비금으로 사용한다는 개념은 희소성과 탈중앙화 특성으로 인해 인플레이션과 금융 시스템 불안정에 대한 헤지 수단이라는 이론적 매력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나 단기적으로 그 가치를 예측할 수 없는 비트코인 가격의 변동성, 비트코인 규제에 대한 글로벌 금융 시스템의 일관성 없는 태도, 많은 국가의 법률 체계가 아직 가상 자산에 완전히 적용되지 않은 점, 국제적인 공조와 합의 등 현실적으로는 여전히 많은 위험과 장애물이 존재합니다.
유지닝은 새로운 트럼프 행정부가 이끄는 미국이 비트코인 준비금 관련 법안 추진을 가속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트코인을 전략 준비금으로 도입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큰 특정 지역, 특히 초인플레이션, 통화 가치 하락 또는 금융 위기를 경험한 국가들이 비트코인을 준비금 자산으로 고려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측했습니다. 을 준비 자산으로 고려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세계 최초로 비트코인을 법정화폐로 채택한 엘살바도르는 외부 압력에도 불구하고 외환보유고로 비트코인을 구매하겠다고 고집하고 있습니다. 아르헨티나나 베네수엘라처럼 오랫동안 높은 인플레이션과 통화 가치 하락에 시달려온 다른 국가들도 비트코인 보유에 보다 개방적이며 외환 보유고를 안정화할 대안으로 비트코인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또한 중동 일부 국가, 특히 석유 부국과 같이 금융 혁신에 대한 의식이 강한 일부 국가에서는 비트코인을 새로운 유형의 전략적 준비 자산으로 고려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