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가 등장한 후 재평가될 것은 중국 자산 전체가 될 것입니다.
도이치뱅크는 2월 5일 최신 보고서에서 2025년이 중국이 전 세계를 능가하는 해가 될 것이라며 중국 주식의 '밸류에이션 할인'이 사라지고 A주/홍콩 주식의 강세장이 지속되어 이전 최고치를 뛰어넘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습니다. 도이치뱅크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2025년은 중국이 글로벌 경쟁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음을 투자 커뮤니티가 깨닫는 해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중국 기업들이 여러 제조 및 서비스 부문에서 비용 효율적이고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한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중국 주식의 '밸류에이션 할인'이 사라지고 친소비자 정책과 금융 자유화에 힘입어 수익성이 예상을 뛰어넘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4년에 시작되는 홍콩/증시 강세장은 중기적으로 이전 고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도이치뱅크는 중국의 제조업과 서비스 부문이 글로벌 리더 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며 딥시크는 중국의 "스푸트니크" 순간에 가깝다고 말했습니다
중국은 의류, 섬유, 장난감, 기초 전자제품, 철강, 조선뿐만 아니라 통신 장비, 원자력, 방위, 고속철도와 같은 복합 산업 분야에서도 선두를 달리고 있습니다. 그리고 2025년 중국은 세계 최초의 6세대 전투기와 저비용 인공 지능 시스템인 딥시크를 일주일 간격으로 출시했습니다.
마크 앤더슨은 딥시크의 출시를 '인공 지능의 스푸트니크 순간'이라고 불렀습니다. "라고 말했지만, 중국의 지적 재산이 인정받고 있는 중국에게는 스푸트니크의 순간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 중국이 고부가가치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공급망을 지배하는 분야가 전례 없이 빠른 속도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도이치뱅크는 오늘날 중국이 1980년대 초의 일본이라고 주장합니다
사람들은 지금 중국이 1989년의 일본이 아니라 1980년대 초의 일본이라는 것을 깨닫기 시작했습니다. 일본의 가치 사슬은 더 낮은 가격에 더 높은 품질의 제품을 공급하고 끊임없이 혁신하면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었습니다.
또한 도이치뱅크는 미중 무역 문제가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무역과 시장은 그다지 밀접한 상관관계가 없다고 낙관합니다.
중국 기업들이 전 세계적으로 지배적인 위치를 공고히 하고 있는 상황에서 밸류에이션 할인은 결국 프리미엄으로 전환될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자들은 중기적으로 중국으로 빠르게 이동해야 할 것이며 주가가 상승하지 않고는 중국 주식에 접근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중국의 제조업 지배력 확대
최근 몇 년간 중국의 제조업 지배력은 글로벌 규모로 커지고 있습니다.
도이치뱅크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중국 제조업은 초기 의류, 섬유, 장난감 분야에서의 부상에서 현재 기초 전자, 철강, 조선 및 기타 분야의 지배력까지 놀라운 궤적을 보여왔습니다. 특히 중국 기업들은 백색 가전과 태양 에너지와 같은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특히 통신 장비, 원자력, 방위, 고속철도와 같은 복합 산업에서 중국의 부상은 막강한 기술력을 입증했습니다.2024년 말 중국의 자동차 수출이 급증하면서 고성능, 매력적인 외관, 경쟁력 있는 가격의 전기 자동차가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2025년 중국은 세계 최초의 6세대 전투기와 저비용 인공지능 시스템인 딥시크(DeepSeek)를 단 일주일 만에 출시했는데, 이는 중국의 지적 재산권을 인정받은 중요한 신호로 여겨졌습니다.
![image](https://inews.gtimg.com/om_bt/OwWiwxfa7uyYVGPVRLPvObgzd1hJjPtfDPxJv5dmn-MWoAA/641)
중국의 제조업 부문의 강점은 다음과 같이 입증됩니다.
수출 규모: 중국의 상품 수출은 미국의 2배에 달하며 전 세계 제조업 부가가치의 30%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허 출원: 중국은 2023년 전 세계 특허 출원의 거의 절반을 차지합니다. 중국은 전기 자동차 특허의 약 70%를 보유하고 있으며 5G 및 6G 통신 장비에서도 비슷한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인재 풀: 인도를 제외하고 중국은 전 세계 어느 나라보다 많은 STEM(과학, 기술, 공학, 수학) 졸업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산업 클러스터: 중국은 실리콘밸리와 유사한 주요 산업에 대한 현지 전문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대학과 긴밀히 협력하여 연구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1980년대 초의 일본을 닮았다
도이치은행은 중국이 1980년대 초의 일본을 닮았다고 생각합니다:
중국 산업클러스터. align: left;">일본의 성장은 풍부한 값싼 노동력, 자본의 집중적 사용, 생산성 향상을 활용하여 이루어졌습니다. 금리를 낮게 유지한 금융 억제 정책 덕분에 국내 투자는 GDP의 30%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일본은 합작 투자를 통해 새로운 기술을 습득했습니다. 저축은 1970년대 초에 GDP의 40%를 차지했지만 1980년대 초에는 거의 30%로 떨어졌습니다. 일본은 1970년대부터 무역 마찰을 피하기 위해 해외에 공장을 설립하기 시작했는데, 중국은 최근에야 이를 시작했습니다.
![image](https://inews.gtimg.com/om_bt/Ov9geyfUWK4bzcanP6Vpk1Ro5Uj_FHTQUa2CQGYuvfipgAA/641)
도이치뱅크도 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금융 시스템을 자유화하면 금리를 정상화하여 예금자에서 기업으로 자금이 이동하는 것을 막음으로써 소비를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렇게 되면 자본이 배분되면서 과잉 투자와 과당 경쟁이 줄어들고, 이는 국영기업에 더 높은 수익을 가져다줄 것입니다. 국영기업의 수익률이 개선되면 주식 가치를 높이기 위해 과도한 경쟁을 완화해야 할 필요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2025년에도 주요 화두가 될 것이며 강세장의 핵심 동인이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또한 중국의 경제와 수출은 비교적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2024년 중국의 수출은 7% 증가했으며 브라질, 아랍에미리트, 사우디아라비아에 대한 수출은 각각 23%, 19%, 18%, 일대일로(OBOR) 국가로의 수출은 13%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국의 대아세안 및 브릭스 수출은 이제 미국과 유럽연합 수출을 합친 것과 같으며, 지난 5년 동안 이 지역으로의 수출 시장 점유율은 매년 2%포인트씩 성장했습니다.
중국의 성장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요인이 작용했습니다.
제조업 우위: 중국은 사실상 모든 산업에서 세계 최고의 기업을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 최대의 제조업 중심지입니다. 거의 모든 산업에서 세계 최고의 기업을 보유하고 있으며 시장 점유율을 지속적으로 확보하고 있습니다.
일대일로 이니셔티브: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중동 및 북아프리카를 개방하여 중국의 잠재 시장을 확대하는 이니셔티브입니다.
자동화 리더십: 산업용 로봇의 약 70%가 중국에 설치되어 생산성 향상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내수 잠재력: 가계 저축 증가율은 명목 GDP 성장률의 2배로 둔화되었지만 2020년 이후 저축이 10조 달러 증가하여 중기적으로 소비 및 주식 시장으로 유입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중 무역 문제는 긍정적인 놀라움을 가져올 수 있지만, 무역과 시장은 밀접한 관련이 없다
CCTV News의 이전 보고서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월 1일 다음과 같은 행정 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중국산 수입품에 10%의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그러나 도이체방크는 실제 상황이 예상보다 더 유리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지를 얻기 어려운 이념적 입장을 고수하는 것보다 전술적 승리를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보입니다.
딥시크의 출범은 중국을 봉쇄할 수 있다는 전 세계의 믿음을 흔들었습니다. 더 나은 접근 방식은 규제를 낮추고, 저렴한 에너지와 수입 중간재에 대한 상대적으로 낮은 장벽을 제공함으로써 비즈니스를 활성화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결국 중간선거를 앞두고 '미국 우선주의' 의제가 발전하면서 무역 친화적인 입장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도이치뱅크의 분석에 따르면 미중 무역 협상이 빠르게 진행되면 제한적인 관세, 일부 현행 규제 해제, 미국과 중국 기업 간의 대규모 계약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중국 증시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수출 감소는 오히려 당분간 주가를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 중국은 여러 분야에서 과잉 투자를 통해 다양한 부문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공급을 억제할 수 있다면 주가에 호재가 될 수 있고 내수 소비를 위한 자본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도이치뱅크는 중국 기업의 글로벌 지배력이 계속 강화됨에 따라 투자자들이 중국 시장에 대한 비중을 늘리기 위해 전략을 빠르게 조정해야 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홍콩/중국 증시는 중기적으로 글로벌 시장을 계속 주도하며 2024년까지 강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우리는 글로벌 투자자들이 몇 년 전 화석연료를 기피했던 것처럼 시장이 비시장적 결정을 내린 투자자들에게 벌을 내리기 전까지 중국 비중을 크게 낮추는 경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오늘날 중국에서도 비슷한 펀드 포지션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해자를 가진 선도 기업을 좋아하는 투자자들은 오늘날 넓고 깊은 해자를 가진 것은 서구 기업이 아니라 중국 기업이라는 점을 무시할 수 없습니다.
중국 기업이 전 세계적으로 지배력을 계속 강화함에 따라 중국 스토리 밸류에이션 할인은 결국 프리미엄으로 전환될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자들은 중기적으로 중국으로 빠르게 이동해야 할 것이며 주가가 상승하지 않고는 중국 주식에 접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는 이전에도 강세를 보였지만 전 세계가 깨어나서 매수하게 만드는 요인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었는데, 중국의 '스푸트니크 모멘트'(또는 전기차 분야에서의 지배력)가 그 요인이라고 믿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