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David C, Bankless, 편찬: Whitewater, Golden Finance
솔라나는 격동의 한 해를 보냈습니다.
대부분의 투자자들이 가격 움직임과 메모리코인 시장이 솔라나에 미치는 영향에 집중하는 가운데, L1의 가장 낙관적인 발전은 프로젝트의 실제 개발이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급성장하는 L2 생태계부터 ZK 압축, 새로운 검증자 클라이언트에 이르기까지 블록체인을 발전시키기 위해 채택 및 개발 중인 다양한 기술을 살펴보고, 이 모든 것이 솔라나의 밝고 지속적인 미래로 이어질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음을 알아보겠습니다.
솔라나 L2와 롤업
솔라나의 1.18.15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는 새로운 중앙화된 스케줄러 덕분에 네트워크가 크게 개선되었지만, 이것이 솔라나의 성공의 끝은 결코 아닙니다. 높은 거래량과 규모를 관리하면서 성공을 이어가고 있는 솔라나에게 필요한 유일한 업그레이드가 결코 아닙니다.
수개월간의 메모리코인 거래 혼잡과 예상되는 에어드랍은 솔라나의 모놀리식 아키텍처를 시험했고, 모놀리식을 유지할지 아니면 모듈식 접근 방식을 취할지에 대한 논쟁을 촉발시켰습니다.
솔라나의 모놀리식 설계(모든 활동이 단일 체인에서 발생하는)는 빠른 거래와 구성의 용이성이라는 장점이 있지만 체인이 성숙할수록 인프라 비용이 상승합니다. 올해 초, 솔라나가 비용 상승과 혼잡을 해결하기 위해 L2와 롤업이 필요하다는 이야기가 많이 나왔습니다.
게임, AI, 뱅킹, 트레이딩 분야에서 애플리케이션 체인과 L2가 성장함에 따라 L2와 솔라나 가상 머신(SVM) 모듈화는 계속해서 탄력을 받고 있습니다. 이는 확장성에 대한 필요성과 높은 거래량을 처리하기 위해 SVM을 유지하면서 빈번한 가격 업데이트를 처리하기 위해 메인넷에서 떨어져 있는 Pyth와 같은 애플리케이션 체인의 성공에 힘입은 바가 큽니다.
다른 이들은 파이스의 선례를 따라 자체 SVM을 사용하여 특정 사용 사례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체인과 롤업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매직블록은 임시 체인에 대한 확장 가능하고 컴포저블한 온체인 게임을 위해 솔라나에 임시 롤업이 도입되었습니다.
Grass는 자체 L2에서 데이터 검증을 위해 ZK 증명을 사용하여 AI 데이터 문제를 해결하는 브라우저 기반 DePIN 프로젝트입니다.
제타 마켓은 사용자 경험, 자본 효율성, 거래 속도를 개선하기 위해 솔라나 롤업을 출시할 계획인 영구 DEX입니다.
소닉은 최근 테스트 네트워크를 출시하고 게임들이 솔라나에 자체 체인을 배포할 수 있도록 모듈형 SVM 체인(하이퍼그리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Iron Bank는 고성능의 규정을 준수하는 법적 거래를 위해 SVM을 사용하는 최초의 기관 온체인 은행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Mantis는 체인 추상화된 주문 흐름, 크로스체인 상호운용성, 피카소 네트워크의 리스테이크 레이어를 통한 네이티브 수익을 제공하는 솔라나 롤업입니다.

ZK 압축
L2 외에도 Solana 개발자 플랫폼 Helius와 Solana의 ZK 레이어 라이트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확장을 위해 ZK 압축이라는 기술도 도입했습니다.
ZK 압축은 각 노드가 저장해야 하는 데이터의 지속적인 증가인 상태 팽창을 해결하여 확장성을 향상시키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상태 인플레이션은 전체 노드의 하드웨어 요구 사항을 증가시켜 기록 데이터를 유지 관리하는 데 많은 비용이 들게 합니다. 그 결과 네트워크 비용이 상승하고 탈중앙화가 감소하며 애플리케이션 상호운용성이 더욱 어려워집니다.
ZK 압축은 기존 파일 압축과 동일한 방식으로 데이터 크기를 줄이면서도, 여러 계정을 머클 루트라고 하는 검증 가능한 단일 다이제스트로 그룹화하여 솔라나가 원장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을 최적화합니다. 이 접근 방식은 데이터 보안과 무결성을 유지하면서 스토리지 비용을 절감합니다. 이는 네트워크의 다른 부분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RPC 수준에서 이루어지며, 이는 솔라나에서 직접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ZK 압축은 Solana의 확장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합니다. 이는 상태 부풀림을 완화하고, 전체 노드 요구 사항을 줄이며, 기록 상태 액세스를 강화하고, 원장 효율성을 개선하고, 트랜잭션 비용을 줄이고, 탈중앙화를 유지합니다.

새 노드 클라이언트
Solana는 블록체인의 높은 성능과 안정성을 충족하기 위해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습니다. 성능과 안정성에 대한 높은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습니다. 두 가지 주요 개발 사항은 업그레이드된 기술을 통해 솔라나의 확장성, 효율성 및 견고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계된 새로운 노드 클라이언트인 파이어랜서와 미스릴입니다.
Firedancer
트레이딩 회사 점프 크립토가 개발한 곧 출시될 파이어랜서 검증자 클라이언트는 모듈식 아키텍처, 낮은 지연 시간, 높은 처리량을 통해 솔라나의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설계되었습니다.
Firedancer는 현재 베타 네트워크에서 운영 중이므로 이러한 개선 사항을 어떻게 달성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모듈형 아키텍처 및 내결함성: 기존 클라이언트와 달리 Firedancer는 '블록'으로 알려진 모듈형 아키텍처를 사용합니다. "블록"은 각각 트랜잭션 처리 또는 서명 확인과 같은 특정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러한 모듈식 접근 방식은 한 블록의 장애가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보장합니다.
고급 네트워킹 및 데이터 처리: 파이어댄서는 맞춤형 구현을 통해 데이터 흐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메모리 할당을 최소화하고 네트워크 중단을 유발할 수 있는 혼잡을 방지합니다. 또한, 파이어랜서는 데이터 병렬 처리를 활용하여 대기 시간을 최소화하면서 대량의 트랜잭션을 처리합니다.
하드웨어 가속 및 효율성: Firedancer는 초당 최대 8백만 개의 서명을 처리할 수 있는 고효율 하드웨어와 FPGA(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를 결합하여 놀라운 처리량과 에너지 효율성을 달성합니다.

Mithril
간편성에 중점을 둔 코딩 언어인 Golang으로 작성되고 검증자 Overclock이 개발한 Mithril은 곧 출시될 새로운 풀노드 클라이언트입니다. 하드웨어 요구 사항을 줄이고 솔라나 노드 실행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하여 확장성과 탈중앙화를 높이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미스릴은 몇 가지 마일스톤으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SVM 재구성: 첫 번째 마일스톤은 거의 완료되었습니다. 이 작업에는 Golang으로 SVM을 다시 빌드하고, 모든 시스템 작업과 기본 프로그램을 다시 작성하며, 철저한 테스트와 버그가 없는지 확인하는 작업이 포함됩니다.
거래 처리 및 장부 업데이트: 두 번째 마일스톤은 거래 처리와 솔라나의 장부 업데이트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미스릴은 네트워크와의 상호작용을 개선하고 가동 시간을 보장하기 위해 인프라 구성 요소를 강화하기 위해 최소한의 RPC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것입니다.
시스템 최적화: 세 번째 마일스톤은 가상 머신과 계정 데이터베이스를 업그레이드하여 시스템 성능을 최적화하고 리소스 소비를 줄이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스마트 컨트랙트를 더 빠르게 실행하고 데이터를 더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시스템 확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데이터 검색 및 스토리지 업그레이드: 마지막 단계는 여러 소스에서 블록체인 데이터를 검색하고, 가용성을 보장하며, 과거 데이터를 보관하는 기능을 구축하고, 빠르고 안정적인 데이터 배포를 위해 비트토렌트를 사용하고, 보안 및 내구성 강화를 위해 파일코인을 사용함으로써 데이터 접근성, 신뢰성 및 내구성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데이터 접근성, 복원력, 보안을 개선합니다.

전망
솔라나는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높은 거래량과 네트워크 혼잡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면서 최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와 L2, ZK 압축, 고급 노드 클라이언트 같은 새로운 기술의 도입으로 다음과 같이 진화하고 있습니다. 는 솔라나가 원하는 규모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이 크게 발전했음을 의미합니다.
솔라나는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하고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아키텍처를 조정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최적의 장소로 거듭나기 때문에 미래가 밝아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