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글래스노드, 우쿠리아OC, 크립토비즈아트, 앨리스 콘; 편집: 타오 주, 골든 파이낸스
요약:
4번째 비트코인 반감기는 처음에는 매도세로 이어져 비트코인 가격이 57,000달러까지 떨어졌다가 빠르게 회복되었습니다. 이는 FTX 저점 이후 최악의 하락세였습니다.
이더는 비슷한 가격 흐름을 보였으며, 비트코인보다 두 배 더 큰 폭의 하락을 경험했습니다.
이번 사이클에서 비트코인에 비해 이더가 저조한 성과를 보인 것은 단기 보유자 커뮤니티의 투기적 관심이 상당히 지연되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장기 보유자와 관련된 실현 한도는 두 자산 모두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시장이 거시적 상승 추세의 초기 단계에 있음을 시사합니다.
가치에 대한 가치
비트코인 반감기 이벤트는 사전에 잘 알려졌고 역사적으로 단기적으로 변동성이 큰 매도 뉴스 이벤트였습니다. 네 번째 반감기도 예외는 아니어서 비트코인 가격은 11% 하락하여 57,000달러대에서 거래되었습니다. 이는 지난 두 달 동안 가장 낮은 가격이지만, 반감기 이후 시장은 안정세로 돌아섰습니다.
이상하게도 처음 두 번의 반감기에서는 2주 후 가격이 보합세를 보였고, 첫 번째 반감기에서만 +11%의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전반적으로 반감기 이후 60일 동안은 -5%에서 -15%까지 약간 하락하는 등 변동성이 크고 횡보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2단계: +9.0%
2단계: +9.0%
3단계: +0.4%
4단계: -1.5%
4단계: -1.5%
< span style="colour: rgb(112, 48, 160);">5단계: 0.3%
![7222377 GaCqA2rGDpRdXuTV5iGIL4pDkOFu9oEhIDEikRu1.jpeg](https://img.jinse.cn/7222377_watermarknone.png)
Live 워크벤치
반감기 직후 비트코인 가격이 하락하며 사상 최악의 반감기 실적을 기록하는 등 이더리움 가격도 비슷한 압력을 경험했습니다. 그러나 이후 며칠 동안 이더리움 가격도 비슷한 상승세를 보이며 전반적인 성과는 플러스 영역으로 돌아섰습니다.
3단계: +16%
4단계: -4%
5단계: +1.5%
![7222382 YYNdy7ueeLQF9uZYtsZ5a8gVbNBTZEqLGvYupLcY.jpeg](https://img .jinse.cn/7222382_watermarknone.png)
라이브 워크벤치
73,000 ATH에서 비트코인 가격이 수정되었습니다. -20.3% 조정되었으며, 이는 2022년 11월 FTX 저점 이후 종가 기준 가장 급격한 조정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거시적 상승 추세는 여전히 역사상 가장 탄력적인 것으로 보이며, 현재까지 조정 폭은 비교적 얕습니다.
현재 사이클과 2015~2017년 상승장(파란색) 사이의 되돌림 구조에서 눈에 띄는 유사성을 관찰할 수 있다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2015~2017년 상승세는 비트코인 초창기에 일어났으며, 당시에는 해당 자산에 대한 파생상품이 없었습니다. 결과적으로 당시 랠리는 완전히 현물 중심의 시장이었으며, 이는 현재 시장 구조와 유사점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2020-22년 사이클의 대량의 레버리지는 2022년에 제거되었고, 새로운 미국 ETF는 현물 시장에 중요한 새로운 수요 벡터를 추가했습니다.
라이브 워크벤치
이더의 경우 비슷한 되돌림 구조를 볼 수 있으며, FTX 저점 이후 조정이 상당히 얕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하락장에서 어느 정도 회복력을 발휘하고 디지털 자산 전반의 변동성을 줄이는 데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러나 이번 주기에서 이더리움의 최대 하락폭인 -44%는 비트코인의 -21% 하락폭의 두 배가 넘는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는 지난 2년간 이더의 상대적 약세를 강조하며, 이는 ETH/BTC 비율의 약세에도 반영되어 있습니다.
![7222384](https://img.jinse.cn/7222384_watermarknone.png)
라이브 워크벤치< /p>
투자자 포지셔닝
BTC와 ETH의 상대적 성과를 비교하기 위해 순 미실현 손익(NUPL) 지표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NUPL을 비교하면 각 자산의 평균 온체인 비용 기준과 비교하여 BTC와 ETH 투자자의 수익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지표의 기본 임계값은 NUPL 0.5이며, 이는 일반적으로 신규 ATH의 돌파 및 유포리아 단계의 시작과 일치합니다. NUPL 값이 0.5를 초과하면 투자자가 자산 시장 가치의 50% 이상의 미실현 수익을 보유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에 대한 과대광고와 시장 랠리 속에서 비트코인 보유자의 미실현 이익은 이더리움 투자자보다 훨씬 빠르게 증가했습니다. 그 결과 비트코인 NUPL 지표는 이더리움보다 3개월 먼저 0.5를 돌파하며 상승 국면에 진입했습니다.
![7222391](https://img.jinse.cn/7222391_watermarknone.png)
라이브 워크벤치< /p>
단기 보유자 그룹은 지난 155일 동안 토큰을 구매한 투자자로 구성되며, 종종 신규 투자자 수요를 대표하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일반적으로 이 그룹의 평균 매입 가격은 약세 추세에서는 강한 저항을 받고, 강세 추세에서는 지지 영역으로 작용합니다.
이 주장은 이번 주까지 유효했으며, 비트코인 시장은 59,800달러의 STH 비용 기준 아래로 하락한 후 지지선을 찾아 상승 반등했습니다. 역사적으로 STH 비용 기준의 재테스트는 상승 추세에서 흔히 발생하며, 잠재적 변곡점(유지하지 못할 경우)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주요 수준을 제공합니다.
라이브 워크벤치
이러한 상승 추세를 여러 차례 뒷받침한 이더의 STH 비용 기반도 평가해볼 수 있습니다. 이더리움의 STH-MVRV는 현재 매우 낮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으며, 이는 현물 가격이 최근 구매자들의 원가 기반에 매우 가깝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시장이 하방 변동성을 경험할 경우 패닉에 빠질 수 있습니다.
라이브 워크벤치
확대되는 다이버전스
3월 14일 비트코인이 사상 최고치(ATH)를 기록하기 전, 투기적 거래인 활동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특히 단기 보유자들 사이에서 자본 축적이 관찰되었으며, 지난 6개월 동안 약 2,400억 달러의 자산이 토큰으로 보유되어 ATH에 근접했습니다.
![7222397 3eKhTUfle4U0gE77oZ5wNbEY90BjuYiH8k5xNtLP.jpeg](https://img.jinse.cn/7222397_watermarknone.png)
라이브 워크벤치 차트
그러나 이러한 추세는 아직 가격이 2021 ATH를 돌파하지 못한 이더리움에는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비트코인의 STH 실현 캡은 지난 강세장 정점과 거의 동일하지만, 이더리움의 STH 의 실현 한도는 저점에서 거의 회복하지 못했으며, 이는 새로운 자본 유입이 뚜렷하게 부족함을 시사합니다.
여러 면에서 신규 자본 유입의 부족은 BTC 대비 ETH의 저조한 실적을 반영하는 것입니다. 이는 부분적으로 비트코인 현물 ETF가 가져온 관심과 접근성 때문일 수 있습니다.
시장은 5월 말에 출시될 것으로 예상되는 일련의 이더리움 ETF에 대한 SEC의 승인 결정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실시간 워크벤치 차트
2~3년 동안 상당한 감소가 발생했다는 점에 주목한다면 유사한 분석적 접근 방식을 취할 수 있습니다. 이 중 일부는 3년 전(2021년 5월)에 구매한 토큰으로 만기일이 3~5년이지만, 나머지는 차익 실현을 위한 인출을 나타냅니다. 이는 ETF의 승인에 영향을 받았을 수 있으며, 매각의 상당 부분이 시장이 상승하던 2024년 2월에 발생했고, BTC가 현재 73,000 ATH에 도달하기 약 한 달 전에 이루어졌습니다. 이러한 장기 보유자들은 역사적으로 강력한 수요 유입을 기다렸다가 수익을 시장 강세로 전환했습니다.
실시간 워크벤치 차트
이더리움의 경우, 특히 1~3년 투자자들 사이에서 지속적인 보유 행태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노련한 투자자들은 현재 이더리움이 저조한 실적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인내심을 갖고 가격 상승을 기다리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7222404](https://img.jinse.cn/7222404_watermarknone.png)
라이브 워크벤치 차트 span>
LTH에 대한 수익 지출 금액을 살펴보면, 보유 기간이 6개월에서 2년인 BTC 보유자 그룹이 ATH 랠리 기간 동안 매각을 늘린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시간 워크벤치 차트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이더리움 장기 보유자들은 여전히 더 나은 수익 창출 기회를 기다리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실시간 워크벤치 차트
WoC 08에서 언급했듯이, ETH로의 유입은 BTC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연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예시에서는 지표를 단기 및 장기 보유자별로 세분화했습니다. 두 자산 모두 단기 보유자 변수는 두 자산 모두 2021년 사이클 최고점 이전에 정점을 찍습니다. 올해 BTC 단기 보유자들은 시가총액이 사상 최고치에 근접해 정점을 찍은 반면, 이더리움 지표는 거의 상승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7222432](https://img.jinse.cn/7222432_watermarknone.png)
라이브 워크벤치 차트 span>
장기 보유자 변수의 경우, 두 자산 모두 두 번째 사이클의 상단 부근에서 상대적 정점을 보입니다. 이는 자본이 LTH 상태에 도달하는 데 최소 155일이 걸리기 때문에 매우 다른 해석입니다.
따라서 이 지표는 2021년 1분기에 BTC와 이더리움을 먼저 구매하고 2021년 10~11월 정점까지 공급을 유지한 상위 구매자를 설명합니다. 이 구매자들은 폭풍을 견뎌내고 이후 2022년 약세장에서 판매자 압력을 유발한 사람들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라이브 워크벤치 차트
요약
비트코인의 네 번째 반감기를 전후한 시장 움직임은 이전 사이클과 매우 유사했으며, 일시적으로 가격이 57,000달러까지 하락했다가 전반적으로 보합세로 반등했습니다. 이더리움 시장도 비슷한 궤적을 따랐지만, 이더리움이 비트코인에 비해 저조한 성과를 보였다는 것을 보여주는 몇 가지 지표가 있습니다.
BTC와 이더리움 간의 자본 흐름과 순환을 분석해 보면 비트코인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이는 부분적으로 미국 현물 ETF가 주도했을 수 있습니다. 단기 보유자와 투기적 활동은 비트코인에 집중된 것으로 보이며, 이더리움으로의 유출은 아직까지 매우 미미합니다.